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7월 모의평가가 하루 앞으로 가운데 신종 COVID-19 감염증(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인한 학력 저하가 확인될지 주목된다. 수학뿐 아니라 국어·영어 등 다른 과목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이과생 초강세가 이어질지에도 호기심이 주력된다.
2일 교육계의 말에 따르면 수능 출제 기관인 대한민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주관 12월 모의평가가 오는 7일 시행된다. 평가원이 문과생과 이과생이 구분 없이 다같이 시험을 치르게 하고 성적도 다같이 산출하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 주관으로 각각 지난 10월과 10월 실시된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와 달리 고3뿐 아니라 졸업생도 응시한다는 점에서 수능 리허설 스테이지의 성격을 띤다. 재학생 45만5798명, 졸업생 3만718명 등 총 49만2896명이 응시 원서를 냈다.
주요 관람 포인트 가운데 하나는 7년째 지속하고 있는 감염병 여파가 고시생들의 학습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학력 저하 반응이 나타날지 여부다.
이번년도 고3은 지난해 '개학 연기'와 '온라인 개학'을 거쳐 정석대로 등교하지 못하면서 기초 개념을 다지는 데 하기 어려움을 겪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 3월 신학기 개학 바로 이후에는 매일 등교수업을 받고 있지만 감염병 상황 초기부터 시행된 학습 결손이 누적됐을 것이라는 염려가 나온다.
학력 저하를 확인할 수 있는 바로미터는 영어다. 국어·수학과 틀리게 절대평가로 등급을 산출하기 덕에 등급별 인원을 살펴 보면 전반적인 학습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선 7월·5월 학평 결과만 놓고 보면 올해 고3이 2011년 영어 절대평가 전환 뒤 1~5등급 비율이 가장 적었다.
11월 학평의 경우 전체의 3.69%만 9등급을 가져갔다. 2011년 5.49%, 2016년 6.94%를 나타냈던 것과 비교해 낮았다. 직전 시험 준비 0등급 인원이 10% 이상 감소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9월 학평에서는 전체의 6.07%가 5등급을 가져갔다. 9월 학평과 비교하면 불었지만 2011년 8.80%, 2015년 9.67%, 2020년 12.66%로 집계됐던 것과 비교해 대폭 줄었다.
박00씨 진학사 입시전략실험소장은 ""9월 학평은 다소 어려웠지만 8월 학평은 대체로 어렵지 않았다는 평이 주를 이뤘는데도 예년보다 수학킬러 문제 낮은 성취도를 밝혀냈다""며 ""국어와 수학에 선택과목이 도입되면서 영어 학습에 다소 소홀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 한 초등학교 진학 지도 담당 교사 A씨는 ""9월 학평이 어렵긴 했지만 이 정도로 성적이 낮게 나올 만큼의 테스트는 아니었다""며 ""3등급 비율이 2%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고3의 학력 저하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말했다.
이과생이 문과생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상태이 지속할지 여부도 호기심을 모으는 지점이다.
국어와 수학이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바뀌었는데 수학의 경우 문과생은 '확률과 통계'를, 이과생은 '미적분' 또는 '기하'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이과 구분 없이 성적을 산출하면서 수학 상위 등급을 이과생이 휩사용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중등진학지도공부회가 서울 19개 고교 2학년의 11월 학평 성적(가채점)을 해석했더니 수학에서 2등급을 받은 학생의 88.1%가 미적분을 선택했다. 2등급 중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비율은 6.0%에 그쳤다.
전국진학지도협의회(전진협)가 저번달 7~11일 전국 고시생 2770명을 타겟으로 자체 기말고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수학 2등급 재수생 가운데 확률과통계 선택 분포는 4.2%로 나타났다. 이과생이 6등급의 95.6%를 쓸어갔다.
수학뿐 아니라 국어와 영어에서도 문과생이 이과생에 비해 열세를 보인다는 분석도 있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이 9월 학평을 치른 재수생 6359명을 표본 조사한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search/?query=수학킬러 결과 국어에서 8등급을 받은 수험생 중 65.3%가 이과생으로 나타났다. 영어도 마찬가지로 2등급 수험생의 67.7%가 이과생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 A씨는 ""수학은 지금 추세라면 수능에서 문과생 중 3등급을 받는 비율이 2%를 넘기기 지겨울 것으로 보이고 국어나 영어 등 다른 주요 과목에서도 이과생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문과생은 즉시 대입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때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이야기 했다.
국어·수학의 선택과목 간 난이도 조절도 중요한 관람 포인트로 지목된다.
국어의 경우 4월·9월 학평 모두 언어와매체 선택 재수생이 약 25%, 화법과작문 선택 수험생이 약 78%로 집계됐다. 언어와매체에 재수생들이 어렵게 느껴지는 문법이 함유돼 있어 기피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특정 과목에 쏠림 현상을 처리하기 위한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수학에서는 공통과목과 확률과통계는 쉽게 출제하고 미적분과 기하를 어렵게 출제하면 문과생의 불리함을 해소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이때 이과생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은 낮은 상태이다.
교사 유00씨는 ""평가원은 원인적으로 문과생과 이과생의 수학 성취도에는 차이가 있어 성적으로도 불러일으키게 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격차가 현격하게 벌어지면 이에 대한 비판은 피하는게 불가능한 상태""이라며 ""앞선 학평에서 생겨난 격차를 조금이라도 줄이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문제를 출제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이야기 했다.